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TLS
- MQTT
- ADsP
- rtmpserver
- Address translation
- hmm
- free-space manage
- 2025년시작
- goroutine
- docker container
- 은닉마르코프모델
- memory virtualization
- CPU virtualization
- webserver
- Docker Compose
- was
- InfluxDB
- 페이징
- videostreaming
- docker
- paging
- RTMP
- ADsP요약
- Process
- reverse proxy
- segmentation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InfluxDB (1)
Euclidean space

로봇 서버에서 실시간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, 실시간 위치 조회 및 특정 시간대의 위치 범위 평균 조회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를 요청받았습니다. 기존에는 MQTT-Golang-MongoDB 구조를 사용하여,1초마다 입력받은 위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방식으로 제작하였고, 이 방식이 효율적인지 의문이 들었습니다.이에 위치 데이터(시계열 데이터)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 시계열 데이터베이스를 찾아보았습니다. 이 영상(Using MQTT and InfluxDB for IoT)을 참고하여 MQTT-Telegraf-InfluxDB 구조를 적용해보았습니다. TSDB(Time Series Database): 시계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, 관리하기 위해 설계된 데이..
Server
2025. 2. 3. 18:36